해당 내용은 제로초님의 Node.js 강의를 정리한 글 입니다.
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는 해당 강의입니다.
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%EB%85%B8%EB%93%9C-js-%EA%B5%90%EA%B3%BC%EC%84%9C/dashboard
[개정3판] Node.js 교과서 -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강의 | 제로초(조현영) - 인프런
제로초(조현영) | 노드가 무엇인지부터, 자바스크립트 최신 문법, 노드의 API, npm, 모듈 시스템, 데이터베이스, 테스팅 등을 배우고 5가지 실전 예제로 프로젝트를 만들어 나갑니다. 클라우드에 서
www.inflearn.com
REST API
: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는 주소를 통해 요청의 내용을 표현
- /index.html이면 index.html을 보내달라는 뜻
- 항상 html을 요구할 필요는 없음
- 서버가 이해하기 쉬운 주소가 좋음
- 서버의 자원을 정의하고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
- /user 이면 사용자 정보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것
- /post면 게시글에 관련된 자원을 요청하는 것
⇒ HTTP 요청 메서드
- GET: 서버 자원을 가져오라고 할 때 사용
- POST: 서버에 자원을 새로 등록하고자 할 때 사용
- PUT: 서버의 자원을 요청에 들어있는 자원으로 치환하고자할 때 사용
- PATCH: 서버 자원을 일부만 수정하고자 할 때 사용
- DELETE: 서버의 자원을 삭제하고자할 때 사용
HTTP 프로토콜
: 클라이언트가 누구든 서버와 HTTP 프로토콜로 소통 가능
- iOS, 안드로이드, 웹이 모두 같은 주소로 요청 보낼 수 있음
-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분리
RESTful
- REST API를 사용한 주소 체계를 이용하는 서버
- GET /user는 사용자를 조회하는 요청, POST /user는 사용자를 등록하는 요청
반응형
'백엔드 > Nod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5 cluster (1) | 2025.02.01 |
---|---|
#4 쿠키와 세션 이해하기 (0) | 2025.02.01 |
#2 요청과 응답 이해하기 (3) | 2025.01.25 |
#1 Node란? (2) | 2025.01.24 |
#0 노드 설치하기 (3) | 2025.01.22 |